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자산보고서

빔(BEAM) - 게임 특화 아발란체 서브넷 블록체인

by be bright 2025. 2. 8.
반응형

메리트 서클은 블록체인 게임에 특화된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로 게임 개발자와 게임 플레이어들의 경험을 개선하고자 게임 특화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게임 특화 블록체인인 빔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SDK 형태로 블록체인과 게임을 쉽게 연동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출처- 빔 홈페이지

 

1. 빔 네트워크

빔 네트워크는 아발란체 서브넷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합의 알고리즘으로 PoA를 사용하고 있으나 추후 아발란체 서브넷의 업데이트가 이뤄지면 PoS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빔 생태계는 빔 블록체인과 게임 개발 및 게임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게임에 블록체인을 보다 쉽게 접목할 수 있는 빔 SDK, 게임 재화의 거래 가 이뤄지는 다양한 거래소, 게임 계정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 합니다. 빔 생태계를 활용하는 게임들이 향후 배포될 예정입니다.

 

BEAM은 빔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네트워크 수수료, 검증인 스테이킹, 거버넌 스, NFT 거래 용도로 사용됩니다. 2023년 MC 토큰의 마이그레이션으로 발행되었으며 최대 발행량은 100,000,000,000개입니다.

 

출처 - 아발란체(아발란체 서브넷 구조)

 

2. 빔 네트워크의 기술

빔 네트워크(Beam Network)는 아발란체 서브넷(Subnet)으로 운영되고 있는 게임 특화 블록체인입니다. 게임 개발자들은 빔 네트워크와 제반 인프라를 활용하여 게임과 블록체인을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빔 네트워크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권위증명(Proof of Authority, PoA)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oA 는 블록을 생성하는 검증인 들을 권위를 기반으로 선정하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검증인 참여가 자유로운 대다수의 블록체인과 차별화되는 방식입니다. 빔 네트워크는 향후 합의 알고리즘을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검증인 자격 획득을 위한 BEAM 스테이킹 기능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3. 빔 네트워크의 특징

빔은 게임 개발자들과 게임 플레이어들을 위한 다양한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하여 보다 풍부한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게임 개발자들을 위한 개발 인프라를 SDK 형태로 제공하고, 빔 블록체인을 구축하여 블록체인 게임들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나아가 게임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산들을 거래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합니다. NFT 거래소인 스피어(Sphere)와 탈중앙 거래소(DEX)인 빔 스왑(Beam Swap)이 이에 해당합니다. 빔 생태계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빔 OS 라 불리는 웹 페이지에서 링크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1) 빔 SDK

빔 SDK를 활용하여 게임과 빔 생태계를 보다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게임 계정, 자산 관리, 스왑, 트랜잭션 관련 일부 작업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빔 생태계 내의 다른 애플리 케이션과 상호작용을 위해 SDK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출처 - 빔 트위터(빔 SDK 적용사례)

 

2) NFT 마켓플레이스 스피어(Sphere)

스피어는 게임 관련 자산들에 특화된 NFT 거래소입니다. 오픈시(Opensea), 블러(Blur)와 같이 지갑을 연결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현재 빔 네트워크와 이뮤터블(Immutable) zkEVM의 두 가지 체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빔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NFT는 BEAM을 통화로 이용 하여 거래될 수 있습니다.

 

출처 - NFT거래소 스피어

 

출처 - NFT거래소 스피어

 

3) 빔 브릿지(BeamBridge)와 스왑(BeamSwap)

빔 브릿지는 빔 체인으로 자산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브릿지입니다. 현재 이더리움, 아비트럼, 빔, 아발란체 등 총 5개의 체인을 지원하고 있으며 브릿지를 통하여 BEAM, AVAX, 스테이블 코인 등의 자산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브릿지를 위한 제반 기술은 레이어제로(LayerZero)팀이 제공하였습니다.

 

출처 - 빔 브릿지

 

4) 빔 컴패니언 앱(Beam Companion App)

빔 컴패니언 앱은 빔 생태계의 배포된 다양한 게임들의 계정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안드로이드와 IOS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다운로드한 뒤 QR 형태로 게임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출처 - 빔 컴패니언 앱

 

지금까지 게임 특화 아발란체 서브넷 블록체인 네트워크 빔(BEAM)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