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자산보고서

주피터(JUP) - 솔라나 생태계의 대표적인 DEX 애그리게이터

by be bright 2025. 2. 8.
반응형

애그리게이터(Aggregator)는 여러 아이템이나 콘텐츠를 모아 한 곳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크립토 시장에도 여러 탈중앙화 거래소 (Decentralized Exchange), DEX들을 모아 한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DEX 애그리게이터(DEX Aggregator) 개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출처- 주피터 스페이스 스테이션

 

1. 주피터(JUP)

주피터(Jupiter)는 솔라나(Solana) 생태계의 대표적인 DEX 애그리게이터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가격으로 토큰을 스왑(Swap)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브릿지 (Bridge) 서비스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수수료로 브릿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솔라나 생태계의 유동성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피터는 2021년 11월 크로스 프로토콜 유동성 스왑 기능을 시작으로 정식 런칭하여 2024년 7월 기준 스왑과 브릿징뿐만 아니라 지정가 매매(Limit Order), 적립식 투자(Dollar-Cost Averaging, DCA), 무기한 선물거래(Perpetual Trading, Perps) 등의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처- 주피터

 

2. 주피터의 메티스 라우팅 알고리즘(METIS Routing Algorithm)

주피터는 애그리게이터로서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조건으로 토큰을 스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최적의 거래 경로”를 찾는데에 주피터는 모든 거래 가능한 경로를 전부 확인하며 각 노드 간의 최단 거리를 찾아낸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인 벨만 포드 알고리즘(Bellman-Ford algorithm)을 수정하여 제작한 메티스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메티스 라우팅 알고리즘은 하나의 스왑 요청이 여러 스왑으로 분할되어 진행되고, 이후 각각의 스왑들이 병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최적의 가격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나아가, 서로 다른 분할에서도 동일한 DEX(탈중앙화 거래소)를 사용하는 경우의 수도 고려하여 더 나은 가격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 용자가 A 토큰을 C 토큰으로 스왑하는 경우, 주피터는 최적의 가격을 찾기 위해 A 토큰의 물량을 여러 경로로 나누어 각각 어떤 DEX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지, A에서 바로 C로 스왑 하는 것보다 A에서 B로 스왑 후 C로 스왑 하는 것이 더 좋은 조건을 보유하는지 등 많은 경우의 수를 확인하여 스왑을 진행하며 이후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스왑이 완료된 토큰을 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주피터의 여러 서비스

주피터는 스왑 서비스 뿐만 아니라 지정가 매매(Limit Order), 적립식 투자(Dollar Cost Averaging, DCA), 무기한 선물거래(Perpetual swaps, Perps)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주피터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와 커뮤니티 주도의 주피터 LFG 런치패드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 런칭 지원을 하고 있고, 추 후 주피터 모바일 앱 개발, 탈중앙화 주식 시장 개발 등을 목표한다고 발표하며 여러 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래는 현재 주피터가 지원하는 주요 서비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스왑(Swap)

주피터 스왑은 주피터가 런칭한 첫 서비스로 자산과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스왑 서비스입니다. 주피터 스왑의 특징은 스왑을 위한 자체 유동성 풀을 보유하지 않고 메티스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다른 여러 DEX들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유저에게 최적의 조건으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처 - 주피터 앱

 

2) 지정가 매매(Limit Order)

주피터의 지정가 매매는 자산의 종류와 양만 선택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시작하였으나 23년 9월 업데이트를 통해 자산의 종류와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애니 투 애니 토큰 트레이딩(Any-to-any Token Trading) 기능을 통해 자산의 종류 상관없이 주문을 넣을 수 있게 되었고, 주문 유효 기간 설정, 트레이딩 뷰 차트 제공, 주문 수수료 무료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출처 - 주피터 앱

 

3) 적립식 투자(DCA) 와 VA(Value Average)

주피터의 적립식 투자 서비스의 특징은 비수탁형이라는 점과 메티스 알고리즘을 통해 매 자동 주문 설정 시간에 최적의 조건으로 거래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유저가 $1,000의 USDC로 $SOL을 10일에 걸쳐 구매하는 주문을 넣었다고 하면 유저의 $1,000은 비수탁형 주피터 DCA 프로그램 소유 계정으로 넘어가고, 10일 동안 매 지정한 시간마다 주피터뿐만 아니라 외부 가격 데이터 제공자를 통해 최적의 가격 조건을 확인하여 거래를 실행하게 됩니다. 또한 체결 가격 레인지 역시 설정할 수 있기에 예상치를 상회하는 가격으로 토큰을 구매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VA는 적립식 투자와 비슷하게 미리 설정해 둔 시간에 자동으로 주문이 들어가지만, 주문 시점에 가격이 높다면 적게 구매하고, 가격이 낮다면 더 많이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투자 방식인 것입니다.

출처 - 주피터 앱

 

4) 브릿지 비교(Bridge Comparator)

주피터 내 브릿지 서비스는 여타 브릿지 서비스와 같이 특정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자산을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다만, 주피터의 브릿지 서비스는 단일 브릿지 서비스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여러 브릿지를 묶어 통합적인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는 마치 주피터의 스왑 서비스와 같이 여러 서비스를 비교하여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DEX 어그리게이팅 서비스처럼 브릿지를 비교하는 서비스인 것입니다. 24년 7월 기준 주피터에서 지원하는 브릿지는 올브릿지 코어(Allbridge Core), 마얀(Mayan), 디브릿지(deBridge)가 있습니다.

출처 - 주피터 앱

 

5) 무기한 선물거래(Perpetual exchange)

주피터의 무기한 선물거래는 자체 유동성 풀과 오라클을 사용하여 가격 안정성 과 제로 슬리피지를 제공하며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100 배 레버리지 (leverage)까지 지원합니다. 주피터 무기한 선물 거래소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싶은 유저들은 JLP Pool(Jupiter Liquidity Provider Pool)이라고 불리는 주피터의 유동성 풀에 자산을 넣어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제공자들은 이에 대한 증표로 JLP 토큰을 지급받고, JLP 토큰 홀더들은 플랫폼 수수료의 70%에 해당하는 보상을 나누어 받게 됩니다.

 

출처 - 주피터 DAO 웹사이트

 

6) DAO 와 주피터 LFG 런치패드(Jupiter LFG Launchpad)

주피터는 탈중앙화 된 프로젝트로 주요 의사결정이 주피터 DAO의 거버넌스 절차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프로포절(Proposal)의 형태로 올라온 주요 안건은 주 피터 DAO를 통해 제안되고 JUP 스테이킹을 한 홀더들에 의해 투표가 진행됩니다. 프로포절의 예시로는 주피터 LFG 런치패드에서 지원할 프로젝트에 대한 투표, 유동성 제공, 전략적 리저브 등에 할당되어있는 JUP 사용처 결정 등이 있습니다. 주피터 LFG 런치패드는 솔라나의 신규 프로젝트의 토큰 런칭을 지원하는 런치 패드로, 위 언급한 JUP 스테이커들이 직접 런치패드에 올라갈 프로젝트를 투표로 결정하게 됩니다.

 

주피터 LFG 런치패드를 통해 런칭 되는 프로젝트는 토큰 총 발 행량의 1%를 주피터 측에 런치패드 수수료(Launchpad Fee)로 지급하고, 해당 1% 중 25%는 주피터 팀, 75%는 주피터 DAO에게 배분된다. 주피터 DAO에 배분된 75%는 투표자 보상으로 지급되게 됩니다.

 

지금까지 솔라나 생태계의 대표적인 DEX인 주피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