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자산보고서

온도 파이낸스 (Ondo Finance)- RWA(실물연계자산) 대표 프로젝트

by be bright 2025. 2. 8.
반응형

실물연계자산(Real World Asset, RWA)은 크립토 업계에서 최근 떠오르고 있는 디파이 섹터들 중 하나로, 채권, 부동산 등 현실 세계의 자산들을 토큰화하여 블록체인에 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들을 칭합니다.

출처 - 온도파이낸스

 

1. 온도파이낸스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는 RWA 섹터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채권 등의 금융자산을 토큰화합니다. 유저들은 온체인에서 해당 토큰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인증받은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투명한 공시와 투 자자 보호를 실행하여 규제친화적으로 프로토콜을 운영하고자 합니다.

 

온도 파이낸스는 미국 국채 및 은행 예금 기반의 리테일 대상 프로덕트인 USDY와 미국 국채 기반의 기관 대상 프로덕트인 OUSG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출 플랫폼 인 플럭스 파이낸스(Flux Finance)를 활용하여 온도의 RWA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출처-업비트

 

2. USDY(Ondo US Dollar Yield Token)

USDY는 단기 미국채와 은행 예금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토큰입니다. USDY는 기관뿐 만 아니라 리테일 유저도 대상으로 하는 상품으로 USDY를 보유하면 단기 미국채 및 은행 예금으로부터 나오는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이자는 USDY에 재 투자되고 USDY는 이더리움(Ethereum), 맨틀(Mantle), 수이(SUI), 솔라나(Solana) 등의 메인넷 내 DEX 등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에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USDY는 안정성과 투명성을 위해 온도 파이낸스와 분리된 별개의 법인을 통해 발행 됩니다. 해당 법인은 USDY의 기반 자산을 앙쿠라 트러스트(Ankura Trust)라는 제3의 주체에게 수탁(Custody)하고 온도 파이낸스가 운영을 멈추거나 파산하는 경우에 USDY 홀더들에게 자산을 돌려줄 수 있도록 자산에 대한 권한을 위임하며 연 1회 토큰감사를 시행하며 단기 미국채 가격 변동에 대비하여 3% 정도의 과담보를 유지합니다.

출처-업비트

 

● USDY 민팅 방법

1. KYC(Know Your Customer) 등 고객확인 과정을 거친 이용자는 USDC나 USDT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입금하여 USD로 전환합니다. USD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2. 입금이 확인되면 프로토콜에서 토큰 증명서를 발급해줍니다.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준 수를 위해 USDY 토큰은 일정 기간이 소요된 이후 수령할 수 있습니다.

 

3. OUSG(Ondo Short-Term US Government Treasuries)

단기 미국채를 기반으로 하는 OUSG는 민팅(Minting)과 회수에 일정 기간이 소요되는 USDY와 달리 즉각적인 민팅과 회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 리테일 고객도 민팅 할 수 있는 USDY와 달리 OUSG는 기관들을 포함한 적격 구매자들만 민팅이 가능합니다.

 

OUSG의 대부분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USD Institutional Digital Liquidity Fund, BUIDL)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는 블랙록의 FedFund, 은행 예금, 유동성을 위한 USDC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USG는 단기 미국채의 이자 수익으로 가치가 축적되는 일반적인 OUSG와 1달러로 그 가치가 고정되며, 이자 수익은 새로운 토큰을 받는 형태인 rOUSG 두 종류가 있습니다. OUSG는 현재 이 더리움, 솔라나, 폴리곤(Polygon)과 통합되어 있습니다.

 

출처-업비트

 

4. 플럭스 파이낸스(Flux Finance)

플럭스 파이낸스는 실물 기반 자산 및 가상자산의 대여와 대출이 가능한 프로토콜로 온도 DAO에 의해 운영됩니다. 컴파운드(Compound) v2를 포크(Fork)해서 구축되었으며, 무허가형 스테이블코인인 FRAX, USDT, DAI, USDC와 온도 파이낸스의 허가형 RWA 토큰인 OUSG 등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플럭스 파이낸스의 사용자들은 OUSG를 담보로 잡고 스테이블코인을 대출받거나 스 테이블코인을 공급하여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온도 파이낸스는 플럭스 파이낸스를 통해 기관들의 디파이 참여도를 활성화 해 OUSG 토큰의 사용처를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5. 전통 금융권과의 연계를 통한 안정성

온도 파이낸스는 블랙록이나 핌코(PIMCO) 같은 미국 내 투자회사들이 관리하는 자산들에 투자하고 있으며, 앙쿠라 트러스트와 같은 제 3자의 적격 회사에게 USDY, OUSG 등의 프로덕트 관련 자산들을 수탁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NAV 컨설팅을 통해 매 일 회계처리를 받으며 동시에 감사도 주기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또한, 온도 파이낸스팀 은 골드만 삭스(GoldmanSachs), 브릿지워터(Bridgewater) 등 전통 금융권과 메이커 (Maker)와 같은 디파이 프로토콜 출신들로 이루어져 그 전문성을 활용하여 웹 2와 웹 3 금융을 결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통하여 온도 파이낸스는 더욱 다양한 RWA 자산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출처- 업비트(온도파이낸스와 협력하는 기관)

 

6. 자체블록체인 '온도체인' 공개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는 온도 서밋 행사에서 전통 금융 시장과 탈중앙 금융(디파이)을 연결하기 위해 실물 자산을 토큰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레이어1 블록체인을 공개했습니다. 

 

출처 - 온도파이낸스

 

온도 파이낸스가 선보이는 온도체인(Ondo Chain)은 기관들 컴플라이언스 기준들을 충족하면서도 이더리움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투명성과 접근성도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온도 체인은 허가된 밸리데이터들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자산 가격과 같은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하게 된다. 온도 체인은 토큰화된 실물 자산 스테이킹과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도 지원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RWA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 온도파이낸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