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차전지 소재 부분에서 에코프로그룹의 뒤를 따르고 있는 포스코그룹의 해외진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가 국내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에 니켈 제련공장을 신설하고 2차전지용 니켈을 생산하여 국내로 들여오는 사례를 만들었습니다.
1. 포스코홀딩스의 인도네시아 진출
지난 3일 포스코홀딩스는 인도네시아에 니켈 제련 공장을 신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인도네시아에 공장신설로 포스코홀딩스는 인도네시아 할마헤라섬의 웨다베이 공단에 4억 4100만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5900억원을 투자하며 연내 공장 착공을 할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인도네시아 진출에는 2차전지산업의 폭발적인 상승세에 있습니다.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소재의 핵심 원료 중 하나인 니켈의 폭발적인 수요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었으며 이에 포스코홀딩스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여 니켈 생산을 선점하기로 한 것입니다. 포스코홀딩스는 호주·뉴칼레도니아에 이어 인도네시아에 까지 진출함으로써 불안정한 2차전지 소재 공급망 내 원료 자급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입니다.
2. 포스코홀딩스, 상업생산시기는 2025년 예정
인도네시아는 세계 1위 니켈 보유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세제와 산업공단 인프라 지원 등 혜택을 부여하며 국가적으로 니켈 생산 전 밸류체인에 대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포스코홀딩스가 신설하는 공장에서는 연 5만 2000톤 규모의 니켈 중간재를 생산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전기차 100만 대에 들어갈 수 있는 양으로 포스코그룹에서 확보한 글로벌 니켈 공급망 중 가장 많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포스코홀딩스, 세계적인 2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도약
포스코홀딩스는 에코프로그룹과 같이 포스코그룹사 전체를 세계적인 2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간의 포스코그룹이 투자한 부분에서 눈에 띄는데요.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021년 호주 니켈 광업-제련 회사 레이븐소프의 지분 30%를 2억 4000만 달러(약 27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지분 인수를 통해 포스코홀딩스는 레이븐소프가 호주에서 생산하는 니켈 가공품을 내년부터 연간 3만 2000톤(니켈 함유량 기준 7500톤) 공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얻었으며 이는 전기차 18만 대에 공급할 수 있는 니켈 양입니다.
또한, 그보다 전인 2006년에 선제적으로 투자한 뉴칼레도니아 니켈 광산도 지금은 효자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당시 포스코는 뉴칼레도니아 니켈광석 수출 회사인 SMSP와 합작으로 니켈 광산 개발 회사 NMC와 니켈 제련 회사 SNNC를 각각 뉴칼레도니아와 광양제철소에 설립했고 당시 투자비로만 3억 5000만 달러가 들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뉴칼레도니아 원료 법인 NMC로부터 니켈광석을 공급 받기로 하고 전남 광양에 고순도 니켈을 제련하는 연산 2만 톤 규모의 2차전지용 니켈 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광양에서 현재 건설 중인 고순도 니켈 정제 공장은 전기차 50만 대 생산이 가능한 규모로 올해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광양제철소 내 7만 4000㎡에 건립되고 있습니다. 전남 광양에 있는 포스코HY클린메탈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및 중국 절강 화포의 전구체 생산까지 포함하여 2030년까지 니켈 22만 톤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처럼 포스코홀딩스는 세계적인 2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고순도 니켈 수요는 연 평균 20% 성장하고 있어 다가오는 2025년부터는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포스코홀딩스는 새로운 도약의 시대에 들어선 것입니다.
'2차전지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성에프앤씨 - 2차전지 믹싱장비 특화기업 (0) | 2023.05.12 |
---|---|
국내 배터리 분리막 제조 기업의 앞으로의 전망 (2) | 2023.05.09 |
에코프로 2023년 1분기 기업 설명회(IR) 및 실적발표회 내용 (0) | 2023.05.02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거래소 상장예비심사 신청 제출 (0) | 2023.04.27 |
에코프로,전환사채(CB) 매수청구권(콜옵션)내용 정리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