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대한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인공지능)의 등장과 더불어 디지털 전환의 핵심 산업으로 지목되는 산업 부문은 바로 '로봇' 부문입니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로봇산업 육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로봇분야는 앞으로 세계적인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큰 부문입니다.
1.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
우리 산업전반에서 사용되는 로봇을 분류하면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야기해 보면 제조업 분야와 같은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산업용 로봇이라고 할 수 있고 무인으로 식당이나 카페에서 사용되는 로봇이나 의료·군사·안내·청소 등 기능을 갖춘 로봇을 서비스용 로봇이라고 구분할 수 있겠습니다. 서비스용 로봇 같은 경우는 매우 사용처가 다양하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드론이나 자율주행차도 로봇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옳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바입니다.
2. 로봇 시장의 성장 그리고 미래먹거리
제조용 로봇의 성장
제조용 로봇은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1980년대엔 일본이 당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기술을 도입하며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판매국으로 도약했었고 이후 1990년대 들어선 한국과 독일의 제조업이 호황을 이루며 제조용 로봇의 발전을 주도하였습니다. 2010년 이후로는 중국이 지원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세계 최대 제조용 로봇시장으로 부상하였습니다.
글로벌 시장으로 보면 제조용 로봇 시장은 중국·일본·미국·한국·독일 등 5개국이 전체 판매량의 78% 이상을 점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조용 로봇 시장 1위는 해당 기간 26만 8000여 대 로봇을 판매한 중국(52%)으로 이미 중국은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어 2위는 일본(9%)· 3위는 미국(7%)·4위는 한국(6%)· 5위 독일(4%)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제조용 로봇의 성장은 산업 전반에 대한 로봇의 확장성을 보여줍니다. 현재 전체 시장의 60% 이상을 제조용 로봇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주로 전자·자동차·금속·기계·화학·식음료 등을 포함한 우주항공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국제로봇연맹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신규 설치된 제조용 로봇이 전년 대비 31% 증가한 51만 7000여대로 이는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
3. 미래먹거리 로봇 시장
코로나 팬데믹 이후 비대면과 온라인 수요가 커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로봇이 도입되고 설치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돌아보면 로봇 시장의 성장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로봇산업은 연구개발부터 서비스에 이르는 가치사슬이 연계돼 있어 산업과 기술의 파급 효과가 큽니다. 부품과 부품모듈 등 하드웨어에 로봇 관련 소프트웨어를 더해 완제품을 만들고, 이를 적용하는 서비스 영역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봇은 시스템 간 결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을 만드는 데에도 수월합니다. 최근엔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융합기술을 로봇에 접목시키면서 해당 산업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로봇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오프라인 현실 세계와 온라인 가상 세계가 연동되는 사이버물리시스템 세계를 구현하는 것이 골자인데 이를 구현하는 가장 유력한 디바이스는 로봇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스마트팩토리를 위해 제조용 로봇의 역할이 폭증하고 있고 스마트시티 내 시민서비스의 일환으로 다양한 서비스로봇 활용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입니다.
로봇밀도 부문에선 한국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로봇밀도’란 근로자 1만 명당 제조용 로봇의 운용 대수를 의미하는데 2021년 기준 한국의 로봇밀도는 1000대로 전 세계 평균인 141대를 7배 웃돌았습니다. 이는 전기·전자·자동차 분야의 높은 산업 자동화 수준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됩니다. 이처럼 로봇 시장은 비대면 수요와 생산인구 감소, 그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계속 탄생하며 산업계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며 성장하고 있는 산업입니다.
지금까지 미래먹거리, 유망업종으로 부각되는 로봇 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노이드의 AI플랫폼과 성장 가능성 전망 (60) | 2023.08.27 |
---|---|
베트남 경제 전망 및 주식 투자 방법 (42) | 2023.08.27 |
밀리의 서재 알아보기 (27) | 2023.08.26 |
AMD[Advanced Micro Devices] (40) | 2023.08.23 |
반도체 설계 글로벌 1위, Arm과 소프트뱅크 (10)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