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케어젠

케어젠

by be bright 2023. 8. 20.
반응형

케어젠은 지난 6월 15일 이사회를 열고 유통주식수를 증가시켜 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주식의 액면가를 기존 500원에서 100원으로 분할하는 5대 1 액면분할을 결정하였습니다.

출처 - 케어젠

1. 케어젠

펩타이드 연구개발의 글로벌 리더인 케어젠은 2001년 설립 이후 당사의 펩타이드가 가진 무한한 확장성을 혁신적인 제품으로 구현해 온 글로벌 생명공학 기업입니다. 케어젠이 지난 19년간 개발해 온 600여 개 이상의 다양한 기능성 펩타이드는 기능성화장품, Class III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제약 등으로 그 응용분야를 확장하며 생명공학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건강과 미를 추구하는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해답을 제시하는 다양한 기능의 펩타이드를 개발, 생산, 공급함과 동시에 독보적인 당사의 펩타이드 피부전달기술에 의한 제품의 효능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의 개발을 통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인류의 삶과 건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매출액으로 본 케어젠의 성장

케어젠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2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3% 성장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5억 원으로 49.4% 늘고 순이익도 141억 원으로 88.2% 증가했다. 매출 중 158억 원은 전문세러피 부문에서 발생했지만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60억 원 생기면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 동기 73%에서 64%로 줄었습니다.

 

올해 2분기 매출의 경우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14.82% 감소한 76억3600만원으로 잠정 집계되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2.36% 늘어난 183억8200만원, 순이익은 0.50% 줄어든 74억 3900만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3. 케어젠의 성장을 견인할 프로지스테롤 

프로지스테롤의 원료는 기능성 펩타이드 ‘디글루스테롤(Deglusterol)’로 지난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건기식 원료로 인정받았습니다. 프로지스테롤은 FDA에 신규건강식품원료(NDI)로 등록된 후 지난해 3분기부터 제조·판매를 개시했습니다. 

 

케어젠은 올해 본업인 전문테라피 부문의 연매출이 8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 해당 부문 연매출이 537억 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49.1% 성장을 점치고 있는 셈입니다. 올해 연매출 전망치 1500억 원에서 해당 매출을 제외하면 프로지스테롤의 연매출로 최대 700억 원을 기대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지스테롤이 이 같은 매출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2~4분기 동안 수출이 가파르게 늘어야 합니다. 관세청 수출입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1분기 펩타이드 수출액은 194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7.5% 증가하였고 지난달 수출액은 60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6% 늘었습니다. 이달 1~20일 수출액(잠정치)은 513억 원으로 전년 동기(551억 원)의 93.1%에 해당하는 규모로 이를 통해 케어젠의 프로지스테롤 수출도 증가 추세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케어젠은 앞으로 프로지스테롤의 매출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난해 판매 계약을 체결한 고객사들의 판매 시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급 계약 체결 후 현지 판매를 하기 위한 제품 등록 절차가 6개월 정도 걸리기 때문에 지금까지 계약한 국가들은 순차적으로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는 중입니다.

4. 케어젠의 견고한 해외 매출

케어젠은 지난해 하반기 러시아, 말레이시아, 이란 등과 약 4억7575만달러(약 6300억 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공급 기간을 3년으로 통일해 평균을 낼 경우 1년에 약 3300억 원어치 판매 가능한 셈이고 올해 하반기부터 해당 물량의 절반이 판매된다고 가정하면 올해 내에 프로지스테롤 1650억 원어치 수출이 기대되는 것입니다.

 

케어젠은 선진국 시장 진출도 순조롭게 준비 중입니다. 미국과 유럽 지역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논의는 계속 진행 중이며, 유럽의 경우 이와 별도로 유럽식품안전청(EFSA)의 노블푸드(Novel Food) 인증 등록도 준비 중에 있습니다. 노블푸드는 유럽식품안전청의 안전성 평가를 거쳐 신규 원료의 식품 내 사용을 인정해 주는 제도인데 해당 인증 등록 절차는 약 1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회사 측의 설명대로 순차적으로 제품 등록이 진행되면 올해 상반기보다 하반기 수출량이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까지는 지난해 본격적으로 가동을 개시한 화성공장으로 물량을 소화할 수 있을 전망이지만 내후년에는 화성공장의 생산능력(CAPA)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증설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성공장처럼 아예 신축을 하는 것보다는 이미 지어진 공장을 매입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후년 화성공장의 생산능력이 부족할 때에 대한 대안이 있어야 되는 상황이라 올해부터 신공장 후보지를 알아보고 있으며, 본사 인근의 적합한 여건을 갖춘 공장을 매입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케어젠의 액면분할 후 상장은 이번주에 이루어집니다. 과연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게 될지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쯤

지켜보시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케어젠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케어젠 바로 가기

 

반응형

'케어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어젠의 디글루스테롤(프로지스테롤)  (35) 2023.09.11